티스토리 뷰
프로바이오틱스의 부작용
반갑습니다. 비구니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찾으시는 분들이 요즘 많은것 같습니다.
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개인에 따라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동안 알고 있었던 것처럼 함량이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장 건강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장에 무조건 유익할 것만 같던 프로바이오틱스도
부작용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오늘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유산균과 마찬가지로 우리 몸이 건강해지도록 도와주는
효모균, 박테리아 등 살아있는 균을 통틀어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우리 몸 안에 프로바이오틱스는 원래 장에 존재하지만
외부환경에 의해서 생존하기 힘든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요즘 사람들에게는 장과 관련된 질환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평소에 따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여 장의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면역력을 향상시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도좋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장에 도달하기 전에 위산이나 담즙산에 닿아 사멸할 수 있으니
먹을 때는 충분한 양의 유산균을 섭취하시고 유산균을 보호할 수 있는
이중코팅이나 장용캡술등 코팅기술이 적용된 유산균 제품을 먹는게 좋습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섭취하실때는 식이섬유나 프락토올리고당과 같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은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 유산균의 장내 활성화를 도와주어
유산균의 효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부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우선 평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채소나 과일 등을 섭취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장 속 가스를 발생하게 되어 설사가 나올 수 있고
복통이 생길 수 있다고도 합니다. 또한 항생제를 복용중이라면 섭취된 균에 영향을 미치므로
서로 피해서 섭취해야 합니다. 항생제와 같이 복용할 경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다고도 합니다.
영양이 부족한 분들이 섭취할 경우 유익균이 영양소를 가져가게 되어
오히려 몸에 영양이 부족해질 수 있다고도 하며
섭취 중 다른 질병이나 질환이 발생했을 경우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유산균 제품들은 대부분 생후 100일이 지난 후에 아이들에게 먹일 수 있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의 장은 무균 상태로 엄마의 모유나 분유를 통해서
이로운 균들을 받아 장에 정착시키게 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아기의 장이 스스로
여러 균들을 정착시키지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외부에서 고함량의 유산균을
인위적으로 투여하게 되면 아기의 장 시스템에 혼란을 주게 되어
엄마의 모유 등에서 받은 유익균들이 정착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신장이식 환자나 자가면역질환 환자 등과 같이 급격하게 면역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생균을 투여하게 되면 감염이 일어날 수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하는 환자가 유산균을 복용할 경우에는
필히 전문의와 상담하여 복용하여야 하며 면역이 떨어진 환자들의 경우에는
제품을 고를 때도 균종과 균수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고 믿을 만한
생산 시설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상 지금까지 프로바이오틱스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남은 시간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